행복이 머무는곳



심장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부분적으로 좁아져 심장근육이 원하는 산소의 양보다 공급이 적어 흉부압박감 또는 흉통을 느끼는 질환으로 안정협심증, 불안정협심증, 이형 협심증(=프린쯔메탈 협심증) 등이 있는데 우리가 흔히 말하는 좁은 의미의 협심증은 대개 안정협심증을 말합니다.

안정협심증  주로 운동을 하거나 과식할 때, 정서적으로 불안하거나 흥분상태에 있을 때 또는 겨울철 집안에 있다가 갑자기 찬공기에 노출되었을 때 주로 나타나며 가슴 어디에서도 통증을 느낄 수 있으나 주로 흉부 중앙뒷쪽에서 꽉 쪼여드는 압박감이나 짓누르는 듯한 통증을 느끼게 됩니다. 때로는 턱이나 왼쪽 팔로 통증이 뻗칠 수 있으며 지속시간은 대개 2-5분정도 지속되다가 쉬면 가라앉게 됩니다.

불안정협심증   심장 혈액공급 동맥내에 혈액 덩어리(=혈전) 등이 있어 생기는 것으로 이때는 없던 흉통이 새로 생기거나 쉬고 있는 상태에서도 통증이 올 수 있으며 빈도나 강도가 점차 증가하게 되며 중간에 혈전이 떨어져서 좁아진 혈관에 막히게 되면 심장마비가 일어날 수 있으므로 불안정협심증이 의심될 때에는 반드시 의사의 진찰 및 검사를 받고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이형 협심증   관상동맥의 경련으로 인하여 간헐적으로 흉통이 발생하는 경우입니다.
이러한 협심증이 중요한 이유는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은채 또는 환자도 모르는 상태로 있다가 갑자기 심근경색증에 의한 돌발사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협심증이 의심되는 사람이 유의해야 할점
담배를 피우지 말아야 합니다. 흡연은 동맥경화증의 위험요인중의 하나로 특히 심장동맥에 영향을 미쳐 협심증이 있는 사람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가 있습니다.

커피나 홍차와 같이 카페인을 함유한 음료를 마시지 말아야 합니다.
체형이 비만인 경우에는 체중을 조절해야 합니다.

과도한 운동, 흥분, 과식, 무리한 사우나, 갑작스런 추위에의 노출 등은 피해야 합니다.
흉통이 처음 발생했거나 갑자기 빈도가 늘어난 경우에는 반드시 안정을 취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운동을 하는데 있어서는 시작하기 전에 반드시 준비운동을 해야 하며 하는 중에 힘들어 지거나 흉통이 생기게 되면 즉시 중단하고 쉬어야 합니다.
심한 흉통이 생긴 후 2주간의 안정기 동안에는 부부관계도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치료는?
한방에서는 협심증을 '궐심통'이라고 하며 그 원인을 심장의 양기(陽氣)가 부족하여 원활한 혈액순환이 이루어지지 못할 때 생긴 기체(氣滯), 담음(痰飮), 어혈(瘀血)이 심장의 혈맥을 막기 때문이라고 봅니다. 따라서 약해져 있는 심장의 기운을 북돋아 주고 순환을 촉진시켜 체내의 악액질인 담음이나 어혈을 없애주는 처방으로 치료를 합니다. 서양의학에서 협심증의 구급약으로 '니트로그리세린'을 사용하듯이 한의학에서도 '침치료(冠心方)'와 '가미소합향원'이라는 환약 등으로 협심증 발작시의 통증을 완화시킵니다.

많은 환자들이 발병한지 얼마동안은 열심히 치료에 임하지만 조금 좋아지면 중단하는 경우가 있는데, 협심증은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못하였을 때 심근경색에 의한 돌발사로 이행되므로 의사의 지시에 따라 치료를 받으면서 예방법이나 주의사항을 꾸준히 실행하여야 합니다



'건강/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삼보다 좋은 키스  (0) 2008.06.27
요가 행법  (0) 2008.06.27
중풍에 잘걸리는체질  (0) 2008.06.27
여자에게 좋은 키위~  (0) 2008.06.27
한달만에 S라인 만들기 비법 공개  (0) 2008.06.26


중풍은

우리나라 사람들의 사망원인 1위?를 중풍이 차지하고 있고,

그 후유증으로 의식장애, 운동장애, 언어장애등 여러가지 고통을 안겨주는 누구나 두려워하는 질환임에 틀림없다.

동의보감에서는 비인다중풍이라고 하여 뚱뚱한 사람을 중풍에 걸릴 위험이 가장 많은 체질로 지적하고 있다.

 뚱뚱한 사람은 피부가 치밀하여 기혈이 통하기 어려워 쉽게 울체되므로 중풍이 많이 생기게 마련이다.


대부분의 중풍환자들은 50세가 넘어서 발병을 하게 되지만 요즘에 젊은 층에서 중풍이 발병하는 경우가 늘어나는 것이 바로 외형상으로는 건강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뚱뚱한 체형에 비하여 내부의 기운이 쇠약한 부조화가 그 원인이다.


중풍체질로는 외형상으로 비만한 체형에 목덜미가 짧고, 얼굴이 항상 불그스름한 사람이 대표적인 타입이다.

만약 뒷목이 뻣뻣하고 쉽게 숨이 차면서, 항시 몸이 개운하지 않고 무겁게 느껴지는 등의 자각증상이 있다면 위험성은 더욱 높아진다. 

게다가 팔다리가 저린 감각장애 등의 증상이 함께 나타난다면 반드시 의사와 상의하여야 한다.


고혈압은 중풍을 일으키는 가장 큰 원인이 되므로 비만 체형이 아니더라도 중풍을 염두에 두고 예방하여야 한다.

 또한 당뇨병도 우리 몸속의 혈관을 약하게 만들어 중풍뿐만 아니라 모든 질환을 발생시키는 촉진인자로 작용하므로 몸 관리에 주의하여야 한다.


그외에 정상적인 혈압에 당뇨병도 없으며 비만체형도 아닌 젊은 사람들이 중풍에 걸리는 경우도 적지 않는데

 이러한 사람들 중에는 심장판막질환을 가진 환자들이 많다.

특히 심장판막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들은 위에서 말한 체질과는 오히려 정반대의 체질이지만 중풍의 위험성은 훨씬 높게 나타난다



'건강/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가 행법  (0) 2008.06.27
협심증 예방과 치료  (0) 2008.06.27
여자에게 좋은 키위~  (0) 2008.06.27
한달만에 S라인 만들기 비법 공개  (0) 2008.06.26
복숭아/숙취 니코틴 제거 탁월  (0) 2008.06.26